
국내최초 4K UHD 블랙박스 블랙뷰 DR900LK-8.H.265 코덱
HEVC(H.265, MPEG-H part 2)...
코덱은 코더(coder)와 디코더(decoder), 또는 컴프레서(Compressor)와 디컴프레서(Decompressor)의 합성어로, 음성이나 비디오 데이터를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게 디지털로 바꿔 주고, 그 데이터를 컴퓨터 사용자가 알 수 있게 모니터에 본래대로 재생시켜 주기도 하는 소프트웨어로서,
동영상처럼 용량이 큰 파일을 작게 묶어주고 이를 다시 본래대로 재생할 수 있게 해준다. 파일을 작게 해주는 것을 인코딩(encoding), 본래대로 재생하는 것을 디코딩(decoding)이라고 한다. 또 데이터 압축 기능을 사용하여 압축하거나 압축을 푸는 소프트웨어도 코덱에 포함된다.[네이버 지식백과] 코덱 [Codec] (두산백과)
이번에 살펴보는 H.265 HEVC는 고효율 비디오코덱(High Efficiency Video Codec)의 줄임말로 기존의H.264가 QFHD, 4K, 8K 같은 초고화질 영상에는 무리가 따른다는 판단 아래 , ‘H.264 대비 절반의 대역폭에서 동일 등급의 화질을 구현하기 위한 코덱’ 을 표방하며 개발됐다.
HEVC라는 이름 외에 H.265와 ‘MPEG-H part 2’라는 명칭도 사용되고 있으며, 2013년 초반에 시제품이 나오기 시작했으나 H.264와 비교해서 인코딩에 약 5배, 디코딩에 약 2배 이상의 연산 능력을 요구한다는 것이 상용화와 보급화의 걸림돌 이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HEVC(H.265, MPEG-H part 2)
블랙뷰 DR900LK 은 영상의 처리에 H.265코덱을 기본값으로 적용하고 있다.
또한 H.264 코덱도 설정할 수 있는데 코덱의 선택은 시스템-영상 메뉴에서 비디오 코덱을 터치하여 변경 할 수 있다.
해상도 변경시와 달리 설정값을 변경하더라도 메모리 포맷 등의 과정은 거치지 않는다.
다음은 각각 H.264 코덱과 H.265 코덱에서의 동영상이다.
블랙뷰 DR900LK 의 H.264 코덱 설정시 녹화된 영상을 재생했을 때 볼 수 있는 재생 정보.
1분간 녹화영상에 약 184MB의 파일크기를 갖고 있으며 비디오 정보에 AVC 코덱으로 영상처린 된걸 알 수 있다.
블랙뷰 DR900LK 의 H.265 코덱 설정시 녹화된 영상을 재생했을 때 볼 수 있는 재생 정보.
1분간 녹화영상에 약 185MB의 파일크기를 갖고 있으며 비디오 정보에 HEVC 코덱으로 영상처린 된걸 알 수 있다.
사실 처음 녹화영상을 비교했을때 일반적인 H.264와 H.265의 차이만큼 녹화파일의 크기나 녹화영상의 차이를 느낄 수 있을거라 생각했다.
적어도 화질이 같다면 녹화파일의 용량에서라도 차이가 있을 줄 알았다.
하지만 비디오 포멧의 HEVC의 유무로 그 차이를 알아차릴 수 있을뿐이다.
H.265코덱으로 기존과 동일한 용량으로 2배더 생생한 화질을 경험할 수 있다기에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확대를 해 보았다.
하지만 역시 육안으로는 그 차이를 느낄 수 없다.
아무래도 추후 펌웨어 업데이트 등을 통해 개선이 이루어질 부분이 아닐까 한다.
동일화질에 용량은 절반......
-- 본 사용기는 네비인사이드(www.navinside.com) 체험단으로 선정되어 (주)피타소프트의 블랙뷰 DR900LK 제품을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 -- 블랙뷰, 피타소프트, 블랙뷰 DR900LK, 4K UHD, 블랙박스, 블박, 네비인사이드, BLACKVUE, 블랙뷰 4K 블랙박스, ADAS, LDWS, FCWS, FVS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