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블랙뷰 DR550GW-2CH 사용 후기

Author
신대원
Date
2018-01-07 20:23
Views
1817

개봉기


20171223_203617.jpg?type=w773
에누리 체험단으로 당첨되어, 블랙박스가 배송되었습니다!! 당첨메일 받고 3일정도 걸린것 같습니다. 박스는 크지도 않고 작지도 않은 크기로 도착을 했습니다.
20171223_203727.jpg?type=w773
배송된 박스를 뜯어보면 본품인 DR550GW-2CH의 본품과 함께 POWER MAGIC PRO, 장착 할인 쿠폰이 동봉되어 있습니다.
20171223_203806.jpg?type=w773
DR550GW-2CH의 박스를 오픈하면 전면 카메라와 후방 카메라가 다치지 않도록 스펀지로 고정되어 포장되어 있습니다.
20171223_204021.jpg?type=w773
본품의 구성품입니다. 전면블랙박스 1대, 후방 블랙박스 1대, 후방연결 동축케이블 1개, 8GB SD카드와 함께 전원 시거잭, 고정할수 있는 고정핀과 사용자 메뉴얼이 동봉되어 있습니다.

장착기


장착은 장착점에 가서 할까 했으나, 주말밖에 시간이 안되는 사정때문에, 직접 장착을 했습니다. 
평소에도 자동차 튜닝 또는 DIY를 좋아 하시는 분들이면 손쉽게 직접 장착을 할수 있을것입니다. 

먼저 블랙박스를 설치하기 앞서 POWER MAGIC PRO를 설치 했습니다. POWER MAGIC PRO는 상시전원 케이블로써 하는 기능으로는 배터리가 일정 전압이하로 내려가거나,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전원 OFF를 해주는 장치입니다. 예전에는 운전중에만 블랙박스가 작동할시에는 POWER MAGIC PRO와 같은 장치가 필요없었으나, 최근들어 주차된 차량 등을 박고 그냥 가는 사건이 많이 생겨 상시전원이라는 개념이 나온것 같습니다. 
설치를 시작하겠습니다.  

20171229_144026.jpg?type=w773
제 차량은 스파크입니다. 스파크의 퓨즈박스는 운전석 아래쪽에 있습니다. 커버를 빼내고, 퓨즈 박스에서 상시적으로 전원이 들어오는 퓨즈에 연결을 하면 됩니다. 제 차량 기준으로 실내등, 도어락, 무선잠금과 같은 퓨즈가 상시전원입니다. 또한 저 같은 경우엔 블랙박스랑 해당 퓨즈랑 같이 물려놔야되서 끊어질 것에 대비해 암페어(A)가 높은 곳에 해놨습니다.
20171229_144031.jpg?type=w773
퓨즈박스에 연결을 하고, 저같은 경우엔 그 아랫쪽에 공간이 남아 3M 스티커를 이용해 붙였습니다. 설치 하시는 분들은 좀 평평한 곳이나, 설정 조정이 용이하도록 설치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POWER MAGIC PRO의 설치는 끝났으니 이제 본품인 DR550GW-2CH제품을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직접 설치했으므로, 순서가 다른곳과 다를수도 있습니다. 

20171229_142031.jpg?type=w773
먼저 블랙박스의 위치를 잡아줍니다.
20171229_143112.jpg?type=w773
블랙박스에 AC전원잭을 꼽아줍니다. 대부분 저 위치에 설치를 하는데, 룸밀러를 아래쪽으로 밀어주시고 하면 작업이 좀 수월합니다.
20171229_143334.jpg?type=w773
저는 전원 케이블을 빨간색과 같은 루트를 이용해서 자동차 천정 안쪽으로 해서 케이블을 매립했습니다. 매립시 블랙박스 있는 부분을 타이트하게 하지말고, 조금 여유를 두시고 하시면 됩니다.
20171229_143513.jpg?type=w773
운전석쪽에 있는 필러를 A필러라고 합니다. A필러를 빼서 내부에 선 매립을 합니다. 이 사진에서 선이 많은 이유는 맨 위에 선은 후방 와이퍼 선이고, 그 아래 여러가닥의 선은 제가 보아빔과 시큐리티등을 설치 해서 선이 많습니다. 스파크 차량은 저와 같은 루트로 설치하시면 됩니다. 또한 팁 하나 드리자면 청테이프같은 것으로 해당 선을 정리해서 붙여놓으면 후에 A필러를 다시 조립시 편리합니다. 이제 후방 카메라를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20171229_145201.jpg?type=w773
후면 카메라 설치입니다. 전방 카메라와 같이 먼저 자리를 잡아줍니다.
20171229_145408.jpg?type=w773
동축 케이블을 연결한 상태입니다. 저는 자동차 내부의 천정을 이용해서 매립을 했습니다. 천정 안쪽으로 옷걸이나 철사를 넣고 해당 선을 빼는 방식으로 매립했습니다. 주름관 내부로도 뺄수는 있으나, 시간이 너무 오래 소요되고, 보이지 않는 부분으로 철사의 길을 찾아야 하니 고난이도라 일단 손쉽게 설치할수 있도록 위 사진과 같이 매립했습니다.
20171229_145417.jpg?type=w773
후면부 매립이 끝나고 트렁크를 닫은 모습입니다. 깔끔합니다.
20171229_145513.jpg?type=w773
후면부터 동축 케이블 매립을 합니다. 빨간 동그라미 부분의 고무를 힘껏 떼어내시면 빠지면서 안쪽에 틈이 생깁니다. 그 틈에 해당 동축 케이블을 매립(숨김)합니다. 앞쪽 운전석 쪽으로 또 매립을 해야되는데 중간에 B필러(운전석과 후방석 사이에 있는 기둥을 말합니다)가 있는데, 이 B필러는 힘으로 잡아 빼면 부러질 염려가 있기에 오리발 또는 살살 빼내어 윗부분만 떼어냅니다.
20171229_145538.jpg?type=w773
전면 사진은 위의 사진의 고무를 떼어낸 사진입니다. 빨간색 경로로 선을 숨겨주세요 . 후방카메라의 동축케이블 여분이 좀 많이 남으실텐데, 보통은 B필러로 숨기거나, 천정 쪽으로 테이프로 고정합니다. 그러나 천정마감을 떼어낼수 없으므로 B필러 내부에 숨겨준후, 전방 카메라와 연결을 하면 됩니다. 이로써 설치가 끝났습니다.

사용기

1.PNG?type=w773
블랙박스를 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Viewer가 필요합니다. 해당 뷰어는 사진을 클릭하시거나 블랙뷰 공식 사이트에 가시면 다운받으실수 있습니다. 뷰어는 두가지 종류가 있는데 본 제품의 뷰어를 사용하시려면 Cloud viewer로 설치하셔야 고해상도로 보실수 있습니다. 뷰어를 보시면 달력과 타임그래프를 통해 시간별로 영상을 볼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좌측 하단의 지도를 통해 GPS로 기록된 현재 위치를 보실수 있습니다. 타임 그래프의 하단에는 민감도를 통해 자동차에 얼마나 충격이 가해지는지도 표시가 됩니다.
2.PNG?type=w773
좌측 상단의 설정을 누르면 처음뜬 화면입니다. viewer 탭에서는 지도 선택과 함께 속도 단위를 설정할수 있습니다.
3.PNG?type=w773
펌웨어 탭으로 이동하게 되면 4가지 속성의 값을 설정할수 있습니다. 기본, 민감도, 기타, WIFI 를 설정할수 있는데, 이 화면은 기본탭의 화면입니다. 녹화 관련된 기본 설정을 합니다.
4.PNG?type=w773
민감도 탭에서는 주차모드시 다른차량에 의해 차량 충격을 감지하여 해당 부분을 이벤트 녹화로 할수 있도록 설정하는 부분입니다. 또한 속도 경고를 설정할수 있습니다.
5.PNG?type=w773
녹화된 파일 목록 입니다. RF는 전면카메라의 상태이고, PR은 후면카메라녹화 파일 입니다.
image_868766721515322525848.png?type=w773
전방 카메라 녹화 화면 재생 캡쳐사진 입니다. 전면은 Full HD 녹화화면입니다. 화면의 좌측 상단에는 후방 카메라 화면이 보입니다.
image_6598210951515322673468.png?type=w773
후방 카메라 녹화 화면 재생 캡쳐사진 입니다. 후방은 HD 녹화화면입니다. 전방 카메라 뷰어와 같이 화면의 좌측 상단에는 전방 카메라 화면이 보입니다. 차량번호는 가렸습니다..
image_8145158591515322738506.png?type=w773
밤이 되고 나서 캡쳐한 사진입니다. 나이트 비젼이 켜져 있기 때문에 좀더 밝게 보입니다.

이외에 제가 맘에 들었던 부분은 WIFI로 녹화 화면 및 실시간 화면을 볼수 있는 것입니다. 

Screenshot_20171229-152339.png?type=w773
스마트폰의 APP을 통해서 와이파이로 연결을 하여 실시간 상태를 확인 할수 있습니다. 현재 화면은 집에서 와이파이로 연결하여 캡쳐했습니다.
image_6896075401515322923363.png?type=w773
물론 후방카메라도 실시간 모니터링 가능합니다.

후기

총 평으로는 제가 사용하고 있던 블랙박스도 블랙뷰의 DR 400입니다. 쓰던 제품은 1채널이라 전방, 후방 따로따로 설치해서 사용했으나, DR550GW-2CH은 2채널로 전방카메라에 후방 카메라를 연결하여 사용할수 있었습니다. 시거잭이 하나 줄기도 하고, 선정리하기가 편했습니다. 
후방 카메라의 동축 케이블은 넉넉한 길이라서 스타렉스 같은 차량에도 동축케이블이 부족하지 않을것 같습니다. 

DR550GW-2CH의 장점
1. WIFI로 인한 실시간 모니터링 
2. 고해상도로 사건발생시 차량번호 보기가 용이하다. 
3. 나이트비젼으로 밤에도 좀더 선명하게 녹화화면을 볼수 있습니다. 
4. 2ch로 블랙박스 두개 살 필요가 없이 본품만 사도 전,후방카메라가 다 있습니다. 
5. 후방 동축케이블 선이 길다. 

DR550GW-2CH의 단점 
1. 이 단점은 DR550GW-2CH제품 뿐만 아니라 모든 블랙박스에도 동일할것 같습니다만, 역광시 앞차량 번호판이 보이질 않습니다... 혹여나 번호판이 보일수 있는 기능이 있으면 다른 제품들과 차별화된기능으로 선두에 설것같습니다. 

image_8750300941515323278268.png?type=w773

2. Wifi를 사용해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나, 배터리 소모율이 얼마인지 찾기가 힘들었습니다.. 단점이라기보단 궁금합니다.. ㅠ
3. 기본으로 주어지는 8gb sd카드에는 전방, 후방 카메라의 녹화파일이 동시에 저장됩니다. 기본으로 한단계 윗 버젼인 16GB SD카드로 동봉하면 어떨까 라는 생각을 합니다. 8GB 기준으로 전방 FHD+후방 HD로 녹화했을때 약 6~7시간동안의 녹화영상이 없더라구요.. ㅠ ㅠ

저는  DR550GW-2CH 상품을 추천(보증, 소개, 홍보 )하면서 블랙뷰(에누리닷컴)사로부터 경제적 대가(현금, 상품권, 수수료, 포인트, 무료제품 ) 받았음